얼마 전 친구와 건강 이야기를 하다가 이런 말을 들었습니다.
“나는 엽산을 아무리 챙겨 먹어도 몸에서 잘 안 쓴대. 유전자 때문이라더라?”
처음엔 낯설게 들렸지만, 알고 보니 엽산은 누구나 똑같이 흡수·활용하는 게 아니라 유전자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더군요. 오늘은 바로 그 이야기, **비타민 B9(엽산)**과 관련 유전자에 대해 나눠보려고 합니다.
엽산은 단순한 영양제가 아니라, 우리 몸의 세포와 혈관 건강을 지탱하는 기초 영양소입니다.
🧬 DNA 합성과 세포분열 → 임신 준비와 초기 태아 발달에 특히 중요
❤️ 혈관 건강 → 호모시스테인이라는 아미노산을 낮춰 심혈관 질환 위험을 줄임
🙂 정신 건강 → 세로토닌 같은 신경전달물질 대사에 관여, 기분 안정에도 도움
그래서 임신을 계획하는 여성은 물론이고, 남녀노소 모두가 적정량의 엽산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엽산은 우리가 음식이나 영양제를 통해 섭취하면, 몸속에서 활성형(메틸폴레이트)으로 전환되어야 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에 변이가 있으면 효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MTHFR (rs1801133) 변이가 있으면 엽산을 활성형으로 바꾸는 효율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그 결과, 혈액 속 호모시스테인이 높아지고, 심혈관 질환이나 신경계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죠. 또한 최근 연구에서는, ABO (rs9411377) 유전자 역시 엽산 대사와 연관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원래 혈액형과 관련된 유전자로 알려져 있지만, 영양 대사와도 연결된다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즉, 같은 양의 엽산을 섭취해도 누군가는 충분히 활용하지만, 누군가는 덜 활용할 수 있다는 겁니다.
예전에는 단순히 "엽산을 먹자"라는 수준이었다면, 요즘은 내 체질을 먼저 확인하고 맞춤형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 DTC(Direct To Consumer) 유전자 검사를 통해 내 MTHFR 변이 여부를 확인하면,
나는 엽산을 잘 쓰는 체질인지, 혹은 활성형 엽산을 따로 챙기는 게 더 유리한지 알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제 지인은 검사 후, 일반 엽산 대신 메틸폴레이트 형태의 영양제를 챙기게 되었는데, 확실히 피로감이 줄고 컨디션이 안정되는 걸 체감했습니다.
비타민 B9(엽산)은 DNA 합성과 혈관 건강을 지키는 핵심 영양소입니다. 하지만 그 효과는 개인의 유전자 차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그냥 ‘많이 먹는 것’보다, 내 몸에 맞는 방식으로 섭취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 유전자 검사는 그 힌트를 줄 수 있습니다.
건강관리는 결국 내 몸을 아는 것에서 시작되니까요.
혹시 당신은 엽산을 잘 쓰는 체질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