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는 아이콜리

40대부터 관리해야하는 3대 수치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그 중에서 저에게 손에 잘 안 잡히는 건, 콜레스테롤인 거 같아요. 콜레스테롤에는 총 콜레스테롤 수치 외, 좋은 콜레스테롤과 나쁜 콜레스테롤이 있다는 건,

건강검진 받으신 분들은 알고 있을꺼에요.

간단하게 표로도 한번 만들어 봤어요.

좋은 콜레스테롤(HDL) vs. 나쁜 콜레스테롤(LDL) 비교

콜레스테롤은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지방 성분이지만, 그 형태에 따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다릅니다.

대표적으로 HDL(고밀도 지단백)은 '좋은 콜레스테롤', LDL(저밀도 지단백)은 '나쁜 콜레스테롤'로 불립니다.

아래 표와 함께 각각의 차이점과 건강상 의미를 자세히 비교해볼께요.

HDL(좋은 콜레스테롤)과 친해져야해요

  1. 역할: 혈관 벽에 쌓인 콜레스테롤을 흡수해 간으로 운반, 체외로 배출되도록 돕습니다. 즉, 혈관을 청소해주는 역할을 하여 동맥경화 예방에 핵심적입니다.
  2. 수치가 높을 때: 심장질환, 뇌졸중 등 심혈관질환 위험이 감소합니다. HDL이 높을수록 건강에 이롭습니다.

​​

정상 수치 및 진단 기준

  1. 총 콜레스테롤: 200mg/dL 미만
  2. LDL: 100mg/dL 미만(이상적), 130mg/dL 미만(일반적 정상)
  3. HDL: 40mg/dL 이상(남성), 60mg/dL 이상(여성은 더 높을수록 좋음)
  4. 중성지방: 150mg/dL 미만

​즉 콜레스테롤을 관리한다는 건, LDL을 낮추고, HDL을 높이는 것이라고 볼 수 있어요.

  1. LDL(나쁜 콜레스테롤): 높을수록 혈관 건강에 해롭고, 심혈관질환 위험을 증가시킴
  2. HDL(좋은 콜레스테롤): 높을수록 혈관을 보호하고, 심혈관질환 위험을 낮춤.

생활 습관으로 콜레스테롤 관리하는 방법

포화지방·트랜스지방 줄이기, 불포화지방·식이섬유 섭취 늘리기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걷기, 조깅 등)

금연, 적정 체중 유지

정기적인 혈액검사로 수치 확인

​저에게 지금 필요한건 식이요법 인 듯해요. 포화지방, 불포화지방 함량 음식을 알아보고 준비해야 겠습니다.

댓글 0
답글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