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는 아이콜리

혹시 수면의학 전공의 중에 신홍범원장님을 하시나요?

코슬립수면의원 원장님이자, 대한수면의학회에서 이사로 활약 중인 불면증/ 수면의학에서 열심히 활동 중인 분이시죠.

​불면증에 있어서 저는 신홍범원장님의 연구와 안내 영상들을 줄 곳 찾아봤어요. 그리고 다른 의사분들의 조언들도 자주 듣고 실생활에 활용해 보려고 합니다.

불면증은 보통 몇 일 잠을 못 자는 특정 이슈를 말하지는 않습니다. 약 2주 가까이 잠드는 것이 어렵고,

이로 인해서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는 상황을 말하는 것이죠.

​잠이 오지 않는다고 바로 침대에서 일어나 몸을 움직이는 것 보다, 눈을 감고 침대에 가만히 누워있는 것 만으로도 불면증을 해결하는데 큰 의미있는 시작이 되기도 합니다.

​불면증에 걸리는 주요 이유

  • 유전적·체질적 요인: 원래부터 잠이 잘 안 오는 체질이나 유전적 경향이 있음.
  • 높은 긴장감과 생각이 많은 성향: 걱정이 많고 긴장이 잘 풀리지 않는 성격의 사람들이 불면증에 더 취약함.
  • 잠에 대한 과도한 집착과 왜곡된 생각: “오늘 잠을 못 자면 내일 망친다”는 식의 지나친 걱정이 오히려 수면을 방해함.
  • 생활 패턴 변화 및 활동 감소: 은퇴, 활동량 감소 등으로 낮에 시간이 많아지면 잠에 대한 집착이 커짐.
  • 잘못된 행동 습관: 잠을 못 잤다는 이유로 낮에 누워 쉬거나 활동을 줄이면 오히려 수면 리듬이 깨짐.

불면증의 해결 방법 (영상에서 제시한 방법)

1. 인지행동치료(CBT-I)

  • 인지치료: 잠에 대한 왜곡된 생각(예: 잠 못 자면 큰일 난다)을 바로잡아 불안과 집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잠에 대한 부담을 덜고, 잠드는 것이 어려운 상황이 그저 자연스러운 생활이라는 것을 인지시키는 것이죠.
  • 행동치료: 수면에 방해가 되는 행동(낮에 누워 쉬는 것 등)을 교정하고, 올바른 수면 습관을 만들도록 유도함.
  • 생활 스케줄 관리: 하루 일과를 계획적으로 보내고, 규칙적인 생활을 통해 밤에 자연스럽게 잠이 들 수 있도록 도움.
  • 자기주도적 실천: 꾸준히 실천하면 스스로 잠을 통제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기르고, 약물 없이 불면증을 극복할 수 있음.

2. 기타 팁

  • 즉각적인 효과는 기대하지 말 것: 수면제와 달리 인지행동치료는 시간이 걸리지만, 근본적으로 수면 능력을 키우는 데 도움을 줌.
  • 책, 교육, 전문가 상담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실천 가능: 직접 배우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며, 부작용이 거의 없음

** 이건 오은영 박사님이 해준 불면증을 없애는 자연스러운 방법 중 하나는,

눈을 자연스럽게 감고 있기입니다.
뇌에서는 눈을 오랫동안 감고 있으면, 아... 나는 잠이 들었구나? 라고 생각하고
수면 동안 일어나는 2차 몸의 반응들이 일어난다는 거에요.

​수면 동안 우리 몸은 아데노신이라는 낮시간에 쌓이는 물질을
분해하며 피로를 풀고 몸을 회복시키는 순환 구조를 만들게 되는 것입니다. ​

잠을 못자면 큰일 나겠지? 라는 강박적인 생각에서 벗어나서, 규칙적인 생활, 그리고 몸을 조금은 혹독하게^^

운동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쓰러져 자는 방식도 고려를 해봤으면 좋겠습니다.

댓글 0
답글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