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도 건강 지식 포스팅으로 돌아왔습니다.
오늘은 인바디 부위별 체지방/근육량 분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바디(InBody) 검사는 신체 각 부위별 체성분(체지방량, 근육량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불균형 여부, 체형 개선 방향, 운동 및 영양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부위별 체지방 및 근육량 분석 항목과 해석, 활용법을 자세히 안내드립니다.
📊 인바디 부위별 분석 항목 개요
인바디 결과지에서 일반적으로 팔(좌/우), 다리(좌/우), 몸통(Trunk) 부위에 대해 근육량(SMM)과 지방량(Fat Mass)을 각각 표시합니다.
- 상지 (팔) : 왼팔, 오른팔
- 하지 (다리) : 왼다리, 오른다리
- 몸통 (Trunk) : 흉곽, 복부, 골반 포함
💪 근육량 분석 (Segmental Lean Analysis)
1. 목적
- 부위별 골격근량을 측정하여 좌우 밸런스, 상하체 비율 등을 파악
- 근력 불균형, 재활 후 회복도 평가, 운동 계획 수립에 유용
2. 해석 기준
- 인바디는 각 부위의 근육량을 기준치 대비 백분율(%) 막대 그래프로 표시
100% 이상: 기준 이상으로 건강한 근육량
90~99%: 평균 근접
90% 이하: 부족
3. 활용 예시
- 한쪽 팔/다리만 운동한 경우 비대칭 근육량 확인 가능
- 하지 근육 부족 시 하체 강화 필요
- 체형 불균형 조정 운동 처방 가능
🧈 체지방량 분석 (Segmental Fat Analysis)
1. 목적
- 부위별 지방 축적 분포를 측정하여 비만 위험도, 체형 특성 확인
- 주로 복부 비만, 하지비만, 팔뚝비만 여부 파악에 사용
2. 해석 기준
- 각 부위 지방량(g)을 표기하거나, 전체 지방 대비 분포 비율로 그래프 제공
- 특정 부위의 지방이 과다할 경우 내장지방 또는 피하지방 축적 형태 추정 가능
3. 활용 예시
- 상체 비만형 / 하체 비만형 구분
- 근육은 충분하지만 체지방률이 높은 경우, 다이어트 위주 처방
- 국소 부위 다이어트 운동 전략 수립 가능
⚖️ 체형 균형 지표
1. 좌우 균형
- 왼팔/오른팔, 왼다리/오른다리 근육량이 ±0.1~0.3kg 이내면 정상
- 더 큰 차이가 있을 경우, 운동 습관 또는 질환에 의한 불균형 가능성 존재
2. 상체-하체 비율
- 상체 근육량 대비 하체 비율도 체형 안정성 지표
- 상체 위주의 근육 발달은 자세 불균형이나 허리 통증 유발 가능
🔍 실전 활용 예시
- 오른팔 근육량이 현저히 높음 : 한쪽 팔만 많이 쓰는 습관, 양팔 균형 운동 필요
- 하체 근육량 부족 : 스쿼트, 런지 등 하체 운동 추가
- 몸통 지방 과다 : 내장지방 가능성↑ → 유산소 운동+식이조절
- 상체 근육 충분, 지방 과다 : 근육은 있으나 체지방률 높음 → 다이어트 우선
📌 요약
- 근육량(SMM) : 의미 - 부위별 근육 발달 상태, 관리 방향 - 불균형 조정, 약한 부위 강화
- 지방량(FM) : 의미 - 부위별 지방 축적 상태, 관리 방향 - 비만 분포 확인, 국소 감량 전략
- 균형 지표 : 의미 - 좌우·상하 근육 밸런스, 관리 방향 - 기능성 개선, 통증 예방 목적 운동
오늘은 인바디 부위별 체지방/근육량 분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인바디로 팔, 다리, 몸통에 대해 체지방과 근육량을 분석 할수 있으며, 이러한 부분들로 하여 건강 관리를 할 수 있을것 같아요. 그럼 다음 포스팅 기대해주시고 다음에 또 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