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는 아이콜리

안녕하세요 콜록콜리입니다.

지난 번 그레이브스병에 대해 글을 쓰면서 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대표적 질환이라고 소개드렸는데요,

글 말미에 말씀드렸지만 그레이브스병은 완치가 어려운 병입니다.

하.지.만!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를 병행한다면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다고 말씀드렸는데요,

오늘은 그레이브스병의 주요 치료법에 대해 써보고자 합니다.


약물치료 (항갑상선제)

  1. 대표 약물: 메티마졸(Methimazole), 프로필티오우라실(PTU)

항갑상선제는 갑상선 호르몬의 생성을 억제하는 약물입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1차 치료법이며,

통상 12~18개월간 투약 후 관해 여부를 평가합니다.


장점

  1. 비침습적이며 간편한 복용
  2. 초기 치료로 효과가 빠르게 나타날 수 있음

단점

  1. 재발률이 약 50% 이상
  2. 간기능 이상, 백혈구 감소증 등의 부작용 가능성


방사성 요오드 치료 (RAI 치료)

방사성 요오드를 경구로 투여하여 갑상선 조직을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방법입니다.

미국 등에서는 표준치료로 널리 사용됩니다.


장점

  1. 비교적 영구적인 치료 효과
  2. 간편한 1회 치료로 가능


단점

  1. 갑상선 기능 저하증으로 이어질 가능성 높음
  2. 치료 후 수개월간 효과 지연될 수 있음
  3. 임산부나 수유부는 금기


수술 (갑상선 절제술)

전체 또는 부분 갑상선을 절제하여 갑상선 호르몬 생산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방법입니다.

적응 대상

  1. 종양이 동반된 경우
  2. 항갑상선제에 심각한 부작용이 있는 경우
  3. 빠른 조절이 필요한 중증 환자


장점

  1. 즉각적인 치료 효과
  2. 재발률 낮음


단점

  1. 수술 후 갑상선 기능 저하증 발생 가능
  2. 부갑상선 손상, 성대 신경 손상 등의 합병증 위험


보조 치료 및 생활 관리

  1. 베타차단제: 심계항진, 손떨림 등의 증상 완화
  2. 규칙적인 혈액검사: 치료 경과 모니터링 필수
  3. 스트레스 관리: 면역체계 안정화
  4. 금연: 안구 돌출 악화 예방


치료 선택 시 고려사항

환자의 연령, 임신 여부, 재발 이력, 동반 질환 등에 따라 치료법을 달리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임산부의 경우 약물 치료만 가능하며, 수술이나 방사성 요오드 치료는 금기입니다.


약물치료와 같은 치료법은 재발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방사성 요오드 치료나 수술을 고려합니다.

만약 수술의 적용대상이 아니시라면 치료 후에도

정기적인 내분비 전문의 진료와 갑상선 기능 검사는 필수라는 점 잊지마시길 바랍니다!

​콜록콜리의 이전 글을 보고싶다면? 👉 그레이브스병 원인, 어디서부터 잘못된 걸까?

댓글 0
답글 등록